sia
sia
✍️ Editor
Admin

Introducing EEUT l To All Who Need Healing — Here’s the Forest

  • Author: Kim Min-ji, healer and operator of Susu Forest

  • Editor: Sia

Raise your hand if you joined The Pylon Club's 'Magoksa Sinabro Healing Trip'!

Among the programs offered on this trip, many participants picked 'Moving Meditation' as their 'best special experience.'

This meditation was led by Healer Kim Min-ji, who runs 'Susu Forest' in Gongju, Chungcheongnam-do.

She taught us that meditation isn't just about sitting still with closed eyes and listening to your inner voice but dancing together can also be a form of healing.

In this article, we'll introduce you to Healer Kim Min-ji, an EEUT of The Pylon Club, and 'Susu Forest'!


Healing Others After Overcoming Panic Disorder

In my 20s, like many others, I felt I could do anything.

I traveled endlessly, staying in various countries across the seas.

With a vague hope of finding where I belong, I wandered from country to country, city to city—like a migratory bird chasing the seasons.

But then pain struck me.

In 2018, I was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and underwent psychiatric drug treatment for the next two years.

The treatment wasn't easy. At one point during those two years, I found myself taking 14 pills a day.

Eventually, I stopped the drug treatment and began searching for various ways to heal myself.

🌟The Key to Healing? Self-study and Effort

During the two years of drug treatment, I experienced many things.

I learned that sometimes, a doctor's single word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a patient's life.

Once, I experienced a sudden panic attack while participating in an offline event. My doctor suggested that lactic acid produced after exercise might have been the cause and advised against strenuous exercise.

However, this statement constrained my body for the next two years. I unquestioningly trusted the doctor's advice and tried to move my body as little as possible.

But this was a mistaken idea. I painfully realized that healing isn't just about leaving everything to the doctor but also requires the patient to study and make efforts to heal themselves actively.

If I had researched a bit mo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panic disorder, I wouldn't have lived for two years trapped in the belief that exercise was poison.

🌟Dancing and Barefoot Walking: The Keys to Liberation

After stopping medication due to severe side effects, I was at a loss about how to continue treatment.

That's when I encountered the 'Hilda Model,' a self-healing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nd researched for over 30 years by my current teacher, Hilda.

Among the various methods in this program, 'dancing' and 'barefoot walking' were the ones that suited me best.

Often, when we discuss meditation and healing, we envision someone sitting cross-legged with their eyes gently closed.

But dancing and walking barefoot on the soil are also forms of meditation and healing.

Through dance, I learned how to shake off anxiety.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I got to know my body deeply. I practiced dance therapy, slowly conversing with my body.

Running Susuforest made it easy to practice 'barefoot walking.' While walking barefoot in the forest, I got plenty of sunlight and increased my activity levels.

This brought about changes in me. Climbing up and down mountain paths barefoot every day strengthened my legs, and I started to feel more energetic.

Although there were still painful and challenging moments, for the first time in three years of battling illness, I saw hope. The insomnia that came with panic disorder also improved significantly with barefoot walking.

I directly experienced my autonomic nervous system gradually stabilizing. As I developed the strength to regulate mysel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panic attacks began to decrease.

Now, I'm free enough from panic disorder that I don't need to take medication. And based on my experience, I'm helping others who are suffering to heal.

There are truly diverse healing methods in the world. That's why I encourage you to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your illness, a determination to recover, and an open attitude.

If you do so, you'll surely find a path that helps you. 😊

Susu Forest: Self-Healing through Communion with Nature


Susu Forest is about 24.7 acres of forest located in Gongju, South Chungcheong Province.

Its original name was Mu-su-san, meaning "mountain without worries.”

After settling here, my parents began cultivating the forest while preserving as much of nature as possible. They grew wild vegetables and flowers using natural farming methods.

To honor their efforts in creating this forest, I gave it a new name. Since both of my parents' names contain the character "su," we thought "Susu Forest" would be a fitting name. (And my nickname, as the daughter, became "Susu."😉)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and the Forest


The first tree to bloom in early spring in Susu Forest is the Korean spicebush.

The bright yellow of the spicebush flowers illuminates the early spring forest that has just shed its colorless winter coat. When dried and made into tea, the spicebush flowers have a truly wonderful aroma.

To make flower tea, you need to harvest the flowers before they bloom too much. Feeling this flow of nature in the forest, I thought, "Nature is truly diligent."

This way, I gradually shed my laziness and gained the will to step outside.

Nature helps you find your own pace. However, in capitalist society, many people lose their sense of bodily balance and develop physical and mental illnesses.

At such times, it's beneficial to connect with nature, walk barefoot on forest paths, and relax your body and mind by touching trees and other natural objects.

This is why I made Susu Forest a place for barefoot dancing. For two years, I constantly researched how to use this resource as a healing tool while recovering my body in nature. Using my own body as a test subject. :)

I eventually recovered, and I want to share the fruits of this effort with many people.

I hope you come to Susu Forest to dance barefoot and experience the joy of a deep connection with nature.

=> Susu's Forest website: https://susuforest.modoo.at

=> Susu's Forest Instagram: @susu_forest

🌟Introduction to Healing Programs

After becoming a certified trauma healer, I have conducted over 100 individual healing sessions.

At Susu Forest, I heal the bodies and minds of many clients who have panic disorder, depression, anxiety disorder, chronic pain, and more.

The programs you can participate in at the forest are as follows:

  • One-day Healing Program :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art therapy and meditation, are conducted in the wild healing space in the forest

  • One-on-One Trauma Healing : Healing psychological discomfor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panic disorder, PTSD, and trauma

  • One-Year Natural Healing Training Course : A long-term program that helps fundamental healing of body and mind through monthly regular education for a year

In the one-day program, you can experience barefoot walking (earthing), meditation (including healing dance and circle dance), art therapy (such as food art therapy), and more.

Do you feel you need healing? If so, visit Susu Forest.🌳🌲❤️‍🩹🌻

Visits are not possible without prior reservation 🙏

A Healing Path Connecting to the World


Magoksa Temple is a sacred place even for Koreans.

Having a healing time here with the EEUTs of The Pylon Club was an incredibly proud experience.

Although the two hours we spent together weren't long, I could see your hearts opening as we danced and meditated together.

Seeing tense joints loosen, stiff footsteps become light as feathers, and stern expressions brighten - that moment of becoming one, regardless of nationality, gender, or age - is what motivates me to continue this work.

🌟Dreams Realized Globally and in Korea

For personal reasons, meeting the foreign participants in the Magoksa program was especially meaningful to me. I had once dreamed of living abroad, but health issues brought that dream to an end, and I eventually resettled in Korea.

After several years, when I became an instructor conducting therapy and meditation programs that had healed me, I decided to fulfill my dream by dancing and meditating with foreign participants instead. For this, I even visited Turkey and South Africa to conduct healing programs for locals.

This year, I was thrilled to learn that I’d be able to meet foreign participants through the Magoksa program. I felt incredibly grateful to have the chance to lead healing sessions with them here in Korea, without having to go abroad.

The whole experience felt like a gift, and now that the program is over, it’s as if I’ve just woken up from a beautiful two-month dream.

🌟Hosting a Healing Festival in South Africa

The people I met in South Africa this January remain especially vivid in my memory. During my time there, I co-hosted a natural healing festival at a farm alongside a healer friend.

The people I met during the three-day festival felt like meeting different versions of myself. I felt a deep connection with these individuals from different races and cultures, in a place so far from Korea.

There was a particularly memorable moment. I conducted a Ganggangsullae dance meditation program, which began with singing Arirang, Korea's most famous folk song, in a loud voice.

The festival was held not long after the Jeju air crash, which had left me somewhat depressed. But as we sang Arirang in this foreign land, emotions welled up in my heart. I ended up bursting into tears.

I apologized to those around me for not being able to control my emotions.

But a hippie from South Africa looked me straight in the eye and said:

"One thing Koreans need to learn in South Africa is not to apologize for expressing emotions."

No one had ever responded to my tears, anger, or sadness like that before.

I was taught that as mature adults, it’s 'polite' to suppress negative emotions. As a healer, I’ve been encouraging others to allow all their emotions—but unconsciously, I wasn’t allowing my own.

But the people I met in South Africa were my expressive self. That's when I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kinship I felt with them.

They were vibrant souls, radiating the freedom of an unfamiliar land with their whole being, and they felt like another version of ourselves.


***

After years of working as a 'healer,' I try not to be too tied to this word itself now.

Because I increasingly believe that healing is ultimately a journey to meet ‘myself.'

I can connect with the world and with you in various ways - through healing programs, writing, and books, and more. ☺️




<KR>

이웃 소개 ㅣ 치유가 필요한 모든 이들에게 ‘숲’을 소개합니다.

더파일론클럽의 ‘마곡사 시나브로 힐링 트립’에 참여하신 이웃이 계시다면, 손 들어주세요!

이번 트립에서 제공한 프로그램 중 많은 분들이 ‘특별한 경험’으로 뽑아주신 건 바로 ‘무빙 메디테이션’이었는데요.

이 명상은 충청남도 공주에 위치한 ‘수수네숲’을 운영하고 계신 김민지 힐러님이 진행해주셨습니다.

그는 가만히 앉아 눈을 감고 내면의 소리에 귀기울이는 것만이 명상이 아니라, 함께 춤추는 것도 치유의 한 방식이라는 걸 알려주셨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더파일론클럽의 이웃 김민지 힐러님과 치유의 숲 ‘수수네숲’을 소개합니다!

공황장애를 극복하며 ‘힐러’가 되다

20대의 저는 많은 사람이 그렇듯,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바다를 건너 여러 나라에 머무는 등 끝없이 떠돌았죠. 어딘가에 내가 발 붙힐 곳이 있겠지라는 막연한 기대를 품고 이 나라, 저 나라, 이 도시, 저 도시를 철새처럼 계절 주기로 떠돌아다녔습니다.

하지만 아픔이 저를 덮쳤습니다. 2018년 공황장애를 진단받았고, 이후 2년간 신경정신과의 약물치료를 받았어요.

치료는 쉽지 않았습니다. 2년간 늘어난 투약량은 하루 14알의 알약을 삼키는 데에 이르렀죠.

결국 저는 약물치료를 중단하고, 스스로를 치료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치유의 핵심은? 스스로 공부하고 노력하는 것

2년간의 약물치료 기간 동안 많은 것들을 겪었습니다. 때로는 의사의 말 한마디가 환자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요.

한 번은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했다가 갑작스러운 공황발작을 경험했습니다. 주치의는 운동 후 분비되는 젖산이 원인이었던 것 같다며, 무리한 운동은 자제하라고 처방했죠.

하지만 이 발언은 이후 2년동안 제 몸을 결박하게 만들었습니다. 의사의 조언을 맹신하고, 가능하면 몸을 움직이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병은 의사에게만 맡겨두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적극적으로 공부하고 스스로 고치려는 노력을 동반해야 한다는 것을 절절하게 깨달았습니다.

만약 스스로 운동과 공황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금 더 알아봤다면, 2년이라는 시간 동안 운동이 독이라는 생각 속에 갇혀 살지 않았을 테니까요.

🌟춤과 맨발 걷기, 해방의 단서가 되다

심각한 약물 부작용 때문에 복용을 중단한 뒤, 어떻게 치료를 해나가야할지 막막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현재 저의 스승이신 힐다 선생님께서 30년넘게 연구하고 개발하신 자가치유 모델, '힐다 모델'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 속에서 가장 제게 잘 맞았던 것은 ‘춤’과 ‘맨발 걷기’였습니다.

흔히 명상과 치유를 말할 때면 가부좌를 튼 사람이 지그시 눈을 감는 이미지를 떠올리곤 하죠. 하지만 춤을 추고, 흙을 직접 밟는 행동도 모두 명상과 치유의 일종입니다.

저는 춤을 통해 불안감을 떨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태어나 처음으로 내 몸을 깊숙히 알게 되었죠. 그렇게 천천히 내 몸과 대화를 나누는 춤 테라피를 실천했습니다.

수수네숲을 운영하고 있기에, ‘맨발 걷기’를 하기도 수월했습니다. 맨발로 숲을 걷는 동안 햇볕을 많이 쬐었고 활동량도 많이 늘어났죠.

그것은 제게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매일 산길을 맨발로 오르내리니 다리에 힘이 붙었고, 활기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여전히 아프고 괴로운 순간도 있었지만, 투병 3년 만에 처음으로 희망이 보였죠. 공황장애와 함께 찾아온 불면증 또한 맨발 걷기로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렇게 점점 자율신경계가 안정되어 가는 것을 직접 체험했죠. 스스로를 조율하는 힘을 기르니 공황발작의 빈도와 강도도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이제 공황장애로 인해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자유로워졌습니다. 그리고 제 경험을 토대로, 고통 받는 다른 이들의 치유를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치유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병에 대한 깊은 이해와 반드시 나을 수 있다는 의지, 그리고 열린 태도를 가져보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그렇게 하면 반드시 도움이 되는 길을 만나게 되실거에요.😊

자연과 교감하며 스스로를 치유하는 수수네숲

수수네숲은 충청남도 공주에 위치한 3만평의 숲입니다. 원래 이름은 무수산으로, 없을 무의 근심 수 자를 써서 근심이 없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곳에 정착하게 되면서 최대한 자연을 보존하면서 숲을 가꾸기 시작했습니다. 부모님은 자연농법으로 산나물과 꽃을 기르셨어요. 이렇게 숲을 만들어가신 부모님의 노력을 기리고자 숲에게 새 이름을 지어주게 되었습니다. 부모님 성함에 각각 '수'자가 하나씩 있어서, '수수네숲'이 좋겠다 싶었지요. (그리고 딸인 저의 닉네임은 ‘수수’가 되었답니다.)

🌟치유와 숲의 상관관계

수수네숲에서 초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는 생강나무입니다. 생강나무꽃의 샛노랑이 막 무채색의 겨울티를 벗은 초봄의 숲을 환하게 밝혀줍니다. 생강나무꽃을 따 덖어 차로 만들면 그 향이 정말 좋아요.

꽃차를 만들려면 꽃이 너무 피어버리기 전에 수확해야하죠. 숲 속에서 이런 자연의 흐름을 느끼다보니 “자연은 참 부지런하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저는 조금씩 게으름을 벗고, 문 밖을 나올 수 있는 의지를 얻었어요.

자연은 자신에게 맞는 속도를 찾아줍니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은 분들은 몸의 균형감각이 깨지며 몸과 마음의 병을 얻고는 하죠.

그럴 때엔 자연과 만나 맨발로 숲길을 걷고, 나무나 자연물을 접촉하며 몸과 마음을 이완하면 좋습니다.

제가 수수네숲을 맨발로 춤추는 숲으로 쓰일 수 있게 만든 이유가 바로 이것이에요. 저는 2년 동안 자연 속에서 몸을 회복하며 이 자원을 어떻게 치유의 도구로 써야하는지 부단히 연구했답니다. 제 몸을 실험체 삼아서요. :)

저는 결국 회복했고, 이 노력의 산물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 누리고자 합니다.

수수네 숲에 오셔서 맨발로 춤추고, 자연과 깊숙이 연결되는 기쁨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 수수네숲 홈페이지: https://susuforest.modoo.at

=> 수수네숲 인스타그램: @susu_forest

🌟치유 프로그램 소개

저는 정식 트라우마치유사가 된 뒤 100회 이상 개인치유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수수네숲에서 공황장애와 우울증, 불안장애, 만성통증 등을 앓는 다수의 내담자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있답니다.

숲에서 참여하실 수 있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데이 치유 프로그램: 숲 속 야생의 치유장에서 예술치유, 명상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합니다.

  • 일대일 트라우마 치유: 우울, 불안, 공황장애 및 PTSD, 트라우마 등의 심리적 불편감 치유

  • 자연치유 1년 수련 과정: 1년간 월1회 정기 교육을 통해 몸과 마음의 근본치유를 돕는 장기 프로그램

원데이 프로그램의 경우, 맨발걷기(어씽)·명상(치유춤, 써클댄스)·예술치유(푸드아트테라피 외) 등을 경험하실 수 있어요.

스스로 치유가 필요하다고 느끼시나요? 그렇다면, 수수네숲에 방문해보세요.

(사전예약 없이는 방문이 어렵습니다)

세계로 이어지는 치유의 길

마곡사는 한국사람들도 신성하게 여기는 길지입니다.

이곳에서 더파일론클럽의 이웃들과 치유하는 시간을 가졌다는 것은 굉장히 자랑스러운 경험이었어요. 저와 함께한 2시간은 길지는 않았지만, 여러분의 마음이 함께 춤추고 명상하며 열리는 것이 보였거든요.

긴장되었던 관절들이 부드럽게 풀어지고, 딱딱했던 발걸음이 깃털처럼 가벼워지고, 무뚝뚝했던 표정들이 환해지면서 국적과 성별, 나이를 떠나 하나가 되는 그 순간이 제가 이 일을 계속하는 원동력이 되게합니다.

🌟세계에서, 그리고 한국에서 이룬 꿈

이번 마곡사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참여자분들을 만났던 것이 개인적으로 특히 의미가 깊었던 이유가 있었는데요. 저는 원래 해외살이를 꿈꿔온 사람이었지만 건강문제로 3년만의 꿈이 무산되며, 한국에서 다시 정착을 해야했습니다.

몇년의 시간이 흐르고 저를 치유했던 테라피와 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가 되었을때, 외국인 참여자분들과 함께 춤추고 명상을 하는 것으로 나의 꿈을 대신하자고 마음먹었습니다.  이를 위해 튀르키예와 남아공을 방문해서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치유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어요.

그리고 올해는 마곡사 프로그램에서 외국인 참여자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어 너무 기뻤습니다. 외국에 가지 않아도, 국내에서 외국인분들과 치유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나에게 오는구나하고 하늘에 감사했습니다.

선물같은 시간을 보냈고, 프로그램이 마무리된 지금은 두 달간 기분좋은 꿈을 꾸고 나온 것 같습니다.

🌟남아공에서 힐링 페스티벌을 열다

올해 1월에 다녀온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만난 사람들이 유독 기억에 남아요. 이곳에서 힐러인 친구와 함께 친구의 농장에서 자연주의 힐링 페스티벌을 개최했죠.

3일 내내 진행되었던 페스티벌에서 만난 친구들은 마치 제 분신을 만난 듯 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먼 곳에서 만난, 인종도 문화도 너무나 다른 그 곳의 사람들에게서 큰 동질감을 느꼈습니다.

인상 깊었던 한 순간이 있었어요. 제가 준비한 강강술래 춤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했는데, 첫 시작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민속음악인 아리랑을 큰소리로 부르는 것이었습니다.

페스티벌이 열렸을 때는 제주 항공 참사가 일어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이었어요. 그 영향으로 저희들도 조금 우울해있었죠. 그런데 이국땅에서 아리랑을 부르면서 마음에서 복받치는 감정이 일더라구요. 그래서 울컥하고 울어버렸습니다.

저는 함께 하던 이들에게 감정을 추스리지 못해 미안하다고 사과를 했습니다.

그런데 남아공의 백인 히피족 한 분이 제 눈을 똑바로 바라보면서 이렇게 얘기하더군요.

"한국사람들이 남아공에 와서 배워가야하는 한가지가 바로 감정표현을 하는 것에 미안해하지 않는 것이야."

여태 한번도 저의 눈물에, 분노에, 슬픔에 그런식으로 대답해준 사람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성숙한 어른이라면 부정적인 감정은 억누르는게 '예의'라고 배웠잖아요. 저는 힐러로서 어떤 감정이든 허용해야한다고 사람들에게 말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제 감정을 허용하지 않으려 한 것이죠.

하지만 남아공에서 만난 사람들은 저의 표현하는 자아 그 자체였죠. 그때 그들에게서 느껴진 동질감의 의미를 알게 되었어요.

그들은 모두 미지의 땅의 자유로움을 온몸으로 뿜어내는 생동하는 존재들이었고, 또 다른 우리였죠.

***

'치유자'로서 몇 년을 활동한 지금은 이 단어 자체에 크게 얽매이지 않으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치유는 결국 '나'를 만나러 가는 길이라고 점점 느끼기 때문인 것 같아요.

치유 프로그램으로, 혹은 글이나 책으로,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세상과, 그리고 여러분과 만나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Sat, Jun 2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