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July to early August in Korea is known as the 'Seong-su-gi(성수기, the peak season)'.
This term refers to the period when demand for products and services is high. Many people take their 'summer vacations' during this time.
Most schools are also on break during this period, so many families take this opportunity to travel together. Due to high demand, accommodation costs in tourist areas can more than double in price.
However, for those of you working in Korea, you probably realize how challenging it can be to take an extended vacation — even during the summer holiday period. 🙄
This year, the average summer vacation for Koreans is 3.7 days. In other words, a 1-2 week summer holiday is relatively uncommon in Korea.
In this article, we'll introduce summer vacation travel trends and practical tips for taking time off from work!
This Year's Travel Trends: Where Are People Going Most?
It's predicted that 4.31 million tourists will use Korean airports during the peak season from late July to early August this year.
Of these, 3.15 million will travel domestically, while 1.16 million will use international flights.
📌This Year's Travel Trend: 'Value for Money, Short-term, Healing'
With alternating heavy rains and heat waves, and rising prices, this year's Korean travel trend is "short-term healing trips that offer value for money."
According to a survey of 1,000 Korean travelers by global travel app Skyscanner, 51% of respondents said they "will travel to destinations where they can enjoy more within their budget this summer".
42% of respondents planned to spend 510,000 won or less on round-trip airfare per trip.
According to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by travel agency Hana Tour, short-term and healing-themed trips are the trend.
Short overseas trips of under 7 days, such as '5 days in Chiang Mai' or '4 days in Okinawa', are highly satisfying. Theme trips like 'sustainable travel', 'healing retreats', and 'dining experiences' are also popular.
Shopping patterns of global travelers are also shifting towards 'value for money'.
Shopping is moving from duty-free shops to local supermarkets and beauty stores. Notably, 8 out of 10 foreigners visiting Korea are seeking out Olive Young!
📌Summer Vacation = Beach? Homecations Also Rising
So, where are Koreans going for their summer vacations?
According to travel platform Agoda's analysis of accommodation search data for June-July check-ins, Jeju Island recorded the highest search volume for domestic destinations, followed by Seoul, Busan, Sokcho, and Gangneung.
Except for Seoul, all are famous for their beaches. 🌊
Many are also expected to have 'staycations', spending their holidays at or near home. This reflects the high prices, heatwave, and the need for 'time to unwind alone'.
Those traveling abroad are often choosing nearby China and Japan.
China is currently maintaining a visa-free policy for Koreans. As a result, passenger ship traffic to China has increased by 23.4%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Qingdao and Shanghai, which can be reached in about 2 hours from Korea, are attracting particular interest.
In Japan, well-known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Tokyo, Fukuoka, and Osaka remain popular.
During Peak Season, Arrive at the Airport 3 Hours Early!
During the peak season, are you looking for tips to speed up your airport departure?
Most importantly, it's crucial to arrive at the airport earlier than usual. 😉
Here are some additional tips!
📌 Smart Pass (Face ID) Available for Foreign Residents, Too
Korean airports operate a Smart Pass system using advanced biometric recognition technology.
This service enables you to pre-register your passport, facial information, and boarding pass, allowing you to pass through departure areas and boarding gates with just facial recognition, thereby reducing processing time compared to regular queues.
Available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with Alien Registration Card) aged 14 and above
Registration is required at Smart Pass kiosks in the airport
Facial information can be used for up to 5 years with a single registration
The boarding pass needs to be registered for each departure. However, for Korean Air, Asiana Airlines, and Jeju Air, it's automatically registered after check-in
Only usable for departures from Korean airports
📌 Self Check-in & Self Bag Drop to Reduce Boarding Procedures
You can also try two methods to issue your boarding pass and check your luggage yourself.
This can reduce time spent waiting in line at airline counters for boarding pass issuance and baggage check-in.
Self Check-in
Complete boarding procedures at self-check-in kiosks in the airport or via your smartphone
Self Bag Drop
Availability varies by airline
Generally, self-bag drop counters are located next to check-in counters
Scan your boarding pass and passport at the machine, insert your luggage, confirm check-in regulations, and attach the luggage tag to your baggage
Be sure to keep the issued confirmation
📌 City Airport Terminal Instead of a Busy Airport
For Incheon Airport, you can use the city airport terminal at Seoul Station.
Complete check-in and baggage check at the terminal, then take a direct train to the airport. At the airport, you can quickly depart using a dedicated exit route.
Interestingly, it's said that Japanese travelers use the Seoul Station city airport terminal more than Koreans do!
Provides check-in, baggage check, and immigration services
Airline ticket purchase is not available
Check in advance if your airline offers check-in at the city airport terminal
Currently available for Asiana Airlines, Jeju Air, T'way, Air Seoul, Air Busan, Eastar Jet, Korean Air, Jin Air, etc
Not available for U.S. routes (including Guam/Saipan)
Operating hours 05:20 - 19:00
Check-in closes 3 hours 20 minutes before flight departure
Terminal-direct train runs every 30-40 minutes
Average Summer Vacation Period for Koreans? '3.7 Days'
Even if we know about cost-effective travel destinations and airport departure tips, it's all useless if we don't take a vacation, right? 🤣
According to the '2025 Summer Vacation Status and Economic Outlook Survey' targeting 528 companies with five or more employees nationwide, 42.5% said their average vacation period is '3 days'. '5 days or more' accounted for 32.6%.
According to this statistic, the average summer vacation in Korea is 3.7 days.
This is far too short for foreign workers who want to fly back to their home countries and spend time with their families.
So, how can one get an extended vacation of a week or more?
📌 Is Vacation a Luxury? The Reality in Korean Work Culture
According to an online survey conducted by the civic group among 1,000 office workers nationwide in 2025, 4 out of 10 workers reported being unable to use paid sick leave even when they were ill.
Moreover, 5 out of 10 said it wasn't easy to take a vacation, even before considering paid sick leave.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in private companies, smaller companies, and for those with lower wages. It was also higher for women, non-regular workers, non-union members, and non-office workers.
Korea’s work-life balance index ranks in the middle range globally.
According to the '2025 Global Work-Life Balance Index' survey conducted by the global HR platform Remote on the top 60 countries by GDP, Korea scored 54.61 out of 100 points, ranking 31st.
Although this is up five places from the previous year, the absence of a legal sick leave system and short paid maternity leave kept the score low.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dering various employment policies, including introducing a four-day workweek and increasing the minimum wage.
However, the actual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in the field still has a long way to go.
📌 Reading the Room: Tips for Taking Summer Vacation
The word 'nunchi(눈치, reading the room)’. You've probably heard it often while working in Korea, right?
Nunchi refers to the ability to gauge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in a given situation. To secure a long vacation, you might need to act with this 'nunchi'.
If you want a vacation of a week or more, try discussing it 3 months in advance
One of the most essential skills in workplace life is 'communication'. The same applies to taking vacations. While you're on vacation, your colleagues will have to handle your work (and vice versa!).
Therefore, it's recommended to inquire about your vacation plans to the vacation approver—like your team leader—at least 3 months in advance. They can then adjust the schedule to consider your situation. (If a long vacation is difficult, you might be able to combine a short leave with remote work. 🧑💻)
Try to avoid peak season from late July to early August
Many people want to take summer vacations during peak season. This is especially true for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Therefore, if you don't have children and want to take an extended vacation, it might be a good idea to coordinate your schedule with such colleagues.
And by avoiding peak season, you can lower your airfare a bit! 😉
Get a feel for your company’s atmosphere
Have you ever shared snacks brought back by a colleague from their trip? This is where your 'nunchi' comes in handy.
Some employees bring back souvenirs or snacks to share after a trip. This is common in Korea, so if your company has a similar atmosphere, bringing small souvenirs might be a good idea.
The gifts don't need to be big! Even unique snacks or teas from your visit can make great gifts. 😎
Preparing such small souvenirs is certainly not mandatory. However, it's a nice way to express a small token of gratitude to those who covered for you during your vacation, and it can be a small gesture to improve your relationships with your colleagues.
***
In today's article, we've discussed various aspects of summer vacations.
Do you have any personal tips for taking time off?
If so, please share them with your eeuts at The Pylon Club! 💙
<KR>
한국의 7월 말 ~ 8월 초는 흔히 ‘성수기’라고 불립니다.
이 단어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가 많은 시기를 뜻하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이 기간 동안 ‘여름 휴가’를 떠나죠.
이 때 대부분의 학교들도 방학 시즌을 맞이하기 때문에, 가족 단위의 여행객도 많습니다. 수요가 많다보니, 관광지의 숙박비도 평소보다 2배 이상 오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일하고 계신 이웃 여러분.
‘여름 휴가철’에 장기 휴가를 내는 것은 정말 쉽지 않다는 것. 다들 느끼고 계시죠? 🙄
올해 한국인의 평균 여름 휴가 횟수는 ‘3.7일’이라고 해요. 즉, 한국에서 1~2주의 여름 휴가는 여전히 낯선 문화라는 건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여름 휴가 여행 트렌드와, 직장인이 알면 좋을 휴가 신청 실전 팁 를 소개합니다!
올해 한국 여행 트렌드. 가장 많이 가는 관광지는?
성수기인 올해 7월말~8월초에 한국 공항을 이용하는 관광객은 431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되는데요.
이중 국내로 이동하는 이들은 315만명, 국제선을 이용하는 승객은 116만명이 될 거라고 해요.
📌올해 여행의 트렌드는 ‘가성비·단기·힐링’
폭우와 폭염이 반복되는 날씨, 높아진 물가.
그래서인지 올해 한국 여행 트렌드는 ‘가성비 있는 단기 힐링 여행’이라고 해요.
글로벌 여행 앱 스카이스캐너가 한국인 여행객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응답자의 51%가 "올여름에는 예산 안에서 더 많은 것을 즐길 수 있는 여행지로 떠나겠다"고 답했습니다.
왕복 항공권 지출 비용으로 여행 1회당 51만 원 이하를 계획한 응답자가 42%에 달하기도 했죠.
여행사 하나투어의 고객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단기 및 힐링 테마의 여행이 대세입니다.
‘치앙마이 5일’, ‘오키나와 4일’ 등 7일 미만으로 갈 수 있는 해외 단기 여행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요. 또한 ‘지속가능한 여행’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등의 테마 여행이 인기를 얻었죠.
전세계 여행객들의 쇼핑 양상도 ‘가성비’를 중시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는데요
면세점 중심이던 쇼핑은 동네마트와 뷰티스토어 로컬지점으로 변하고 있어요. 특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10명 중 8명은 올리브영을 찾고 있다고 해요!
📌 여름 휴가는 역시 ‘바닷가’…’집콕 휴가’도 늘어
그렇다면 한국인들은 어디로 가장 많이 여름 휴가를 떠날까요?
여행 플랫폼 ‘아고다’가 올 6~7월 체크인 기준 숙소 검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여행지로는 제주도가 가장 많은 검색량을 기록했으며, 이어 서울, 부산, 속초, 강릉이 차례로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모두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관광지이죠. 🌊
또한 ‘스테이케이션’이라고 불리는, 휴가철 멀리 떠나지 않고 집이나 집 근처에서 휴가를 보내는 이들도 많을 것으로 보여요. 이는 고물가, 폭염, 그리고 ‘혼자만의 휴식’에 대한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해외로 떠나는 이들은 가깝게 다 녀올 수 있는 중국과 일본을 많이 선택하고 있어요.
특히 중국은 현재 한국인 무비자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인지 지난해보다 중국으로 향하는 여객선 수가 23.4% 증가했다고 합니다. 특히 한국에서 비행 시간 2시간 안팎으로 도착할 수 있는 칭다오와 상하이가 큰 관심을 받고 있어요.
일본의 경우, 전통의 관광지 도쿄·후쿠오카·오사카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성수기, 3시간 전에는 공항에 도착하세요!
사람들이 몰리는 성수기. 보다 빠르게 출국하려면?
무엇보다도 공항에 평소보다 이르게 도착하시는 게 중요하다는 것, 다들 알고 계시죠? 😉
그 외에 꿀 팁도 몇 가지 알려드릴게요!
📌 외국인도 사용 가능한 스마트패스(Face ID)
한국 공항은 첨단 바이오 인식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패스를 운영하고 있어요.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여권·안면정보·탑승권을 사전에 등록하고 출국장, 탑승게이트 등을 얼굴 인증만으로 통과할 수 있어 일반 대기줄보다 출국 수속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만 14세 이상의 국내 거주 외국인(외국인등록증 소지자)도 사용 가능
공항 내 스마트패스 키오스크에서 등록 필요
안면정보는 한 번으로 5년간 이용 가능
탑승권은 출국 때마다 등록 필요. 단,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은 체크인 완료하면 탑승권이 자동 등록 됨
한국 공항에서 출국 시에만 사용 가능
📌 탑승 수속을 줄여주는 셀프체크인&셀프백드랍
스스로 탑승권을 발급하고, 짐을 부치는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는 항공사 카운터에서 탑승권 발급과 수하물 위탁을 위해 줄 서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죠.
셀프체크인
공항 내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혹은 핸드폰으로 탑승 수속을 진행합니다.
셀프백드랍(자동 수화물 위탁서비스)
항공사에 따라 이용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대체로 셀프백드랍 카운터가 수속 카운터 옆에 위치해있습니다.
탑승권과 여권을 기계에 스캔해 수하물을 투입하고, 위탁 규정을 확인 후 수하물 태그를 수하물에 부착하면 됩니다.
발행된 확인증은 반드시 소지합니다.
📌 번잡한 공항 대신 도심공항터미널
인천공항의 경우, 서울역에서 도심공항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탑승수속과 수화물 탁송을 마친 후, 직통 열차를 타고 공항으로 이동 가능합니다. 이후 공항에서 전용 출국통로를 이용해 빠르게 출국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인보다 일본인이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을 더 많이 이용한다고 하네요.
탑승수속, 수하물 위탁, 출국심사 서비스 제공
항공권 구매는 불가
도심공항터미널에서 탑승 수속이 가능한 항공사인지 미리 확인 필요
현재 아시아나 항공, 제주항공, 티웨이, 에어서울, 에어부산, 이스타, 대한항공, 진에어 등 가능
단, 미주노선(괌/사이판 등) 불가
운영시간 05:20 ~ 19:00
항공기 출발 3시간 20분 전 수속 마감
터미널-직통열차 운행간격 30~40
한국인 여름휴간 기간은? 평균 ‘3.7일’
우리가 가성비 여행지와 공항 출국 꿀팁을 알아도, 휴가를 내지 않는다면 이 정보들은 모두 소용이 없겠죠. 🤣
전국 5인 이상 5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하계휴가 실태 및 경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42.5%는 평균 휴가 일수가 ‘3일’이라고 합니다. ‘5일 이상’은 32.6%를 차지했죠.
이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평균 여름 휴가는 3.7일인데요.
모국으로 날아가 가족과 함께 휴가를 보내고자 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는 너무나 적은 일수죠.
그렇다면 일주일 이상의 장기 휴가를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휴가는 사치? 아파도 병가 내기 힘든 한국의 기업문화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단체가 2025년 전국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의 결과,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아파도 유급병가를 쓰지 못한다고 답했어요.
심지어 10명 중 5명은 유급 병가 이전에 휴가조차 내기 쉽지 않다고 말했죠.
이는 민간 기업일수록, 회사 규모가 작을수록, 임금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 여성이거나 비정규직, 비조합원, 비사무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높은 비율을 보였죠.
한편, 전세계적 조사에서 한국의 워라밸 지수는 중간 정도에 위치했는데요.
글로벌 HR 플랫폼 리모트가 국내총생산(GDP) 상위 60개국을 대상으로 ‘2025 글로벌 일과 삶의 균형 지수’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100점 만점 중 54.61점을 얻어 3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년보다 5계단 오른 순위이지만, 법정 병가 제도가 따로 없고 유급 출산 휴가도 타국과 비교해서 적다는 점이 감점 요소로 작용했다고 해요.
현재 한국 정부는 주4일제 도입, 최저시급 상승 등 여러 일자리 정책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느껴지는 워라밸의 체감은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 눈치코치, 어떻게 여름 휴가 쓰면 좋을까?
‘눈치’라는 말. 한국에서 일하며 자주 들어보셨죠?
눈치는 상대방의 마음을 그때그때 상황으로 미루어 알아내는 것을 뜻하는 단어인데요. 장기 휴가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이런 ‘눈치 있는’ 행동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주일 이상의 휴가를 원한다면, 3개월 전에는 이야기해보기
직장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이죠. 휴가를 가는 것도 마찬가지에요. 내가 휴가를 내는 동안, 나의 일은 직장 동료가 처리해주어야 하죠.(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고요!)
그렇기에, 당신의 휴가 계획을 최소 3개월 전 ‘휴가 승인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는 당신의 상황을 고려해 일정을 조정해줄 수 있으니까요! (정 안되면 며칠은 재택 근무를 요청할 수도 있겠지만요 🧑💻)
극성수기인 7월말 ~ 8월초는 피해보기
많은 이들이 성수기 시즌에 여름 휴가를 내고 싶어하죠. 특히 학교에 다니는 아이를 가진 부모들은 더욱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당신이 아이가 없고, 보다 장기적으로 휴가를 내고 싶다면, 이런 동료들과 서로의 일정을 조율해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어요.
그리고 극성수기를 피해야 당신의 비행기 탑승권 가격도 조금은 낮출 수 있겠죠! 😉
당신의 회사 분위기를 파악하기
여행을 다녀온 동료가 사온 과자를 나누어 먹은 적이 있나요? 여기서 당신의 ‘눈치’가 필요할 때입니다.
어떤 직원들은 여행을 다녀오면 기념품, 혹은 과자를 사와서 나눠주기도 하죠. 한국에서는 자주 있는 일이기 때문에, 만약 당신의 회사가 이런 분위기라면 조그마한 기념품을 사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선물은 클 필요는 없어요! 그저 당신이 간 곳에서 파는 특색있는 과자, 차 같은 것도 충분히 좋은 선물이 될거에요. 😎
이런 소소한 기념품을 준비하는 것은 당연히 필수가 아닙니다. 하지만 당신의 휴가 기간 동안 그 공백을 메꿔준 이들에 대한 자그마한 감사를 표현하는 좋은 수단이 되고, 당신의 동료들과 관계를 보다 좋게 만들 수 있는 작은 팁이랍니다!
***
오늘 아티클에서는 여름 휴가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봤는데요.
여러분만의 휴가 내기 꿀팁이 있으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더파일론클럽 이웃들에게 공유해주세요! 💙